● 골프장 헤드그린키퍼(GK, Head Green Keeper) 란 ?
- 골프장의 잔디, 수목, 연못, 조경등의 시공과 관리를 총괄하고, 코스관리장비를 운영하며, 코스팀의
예산을 계획하고 집행하는 최고의 전문가(Turf Expert)를 말한다.
- 헤드그린키퍼는 코스관리를 총괄하는 부서장인 수석 그린키퍼를 말한다.
- 미국의 경우 골프장의 코스와 경영을 총괄하는 사람을 슈퍼인덴던트라고 부른다.
- 국내에서는 500여명 이상의 헤드그린키퍼가 활동 중이다.
● 헤드그린키퍼란 용어의 유래
외국의 경우 헤드그린키퍼의 위치는 골프장의 개장 여부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Head 그린키퍼란 코스관리를 총괄하는 부서장인 수석 헤드그린키퍼(head green keeper)를 말한다. 헤드그린키퍼란 말은 일본에서 유래된 말이며 미국에서는 터프 매니저(turf manager) 또는 감독자(superintendent)로 불리어진다.
● 헤드그린키퍼의 권위(외국의 사례)
- 헤드그린키퍼가 오늘의 잔디 상태를 판단 후 골프장 영업 여부를 결정한다.
- 헤드그린키퍼 한명에 5-20여명의 협력자(동료직원)가 있다.
- 골프장에서 최고의 대우를 받고 있다.
- 골프장 잔디관리를 위한 기획, 예산, 관리 등을 총괄하는 업무를 한다.
● 헤드그린키퍼가 되는 길
헤드그린키퍼의 자격은 그린키퍼 학교, 농학 관련 대학 및 농업계열 고등학교를 졸업하여 10년 이상 골프장에 근무한 사람으로 골프장에 관한 기본적인 서비스 및 잔디관련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참조).
● 헤드그린키퍼 직종에 대한 전망
골프 대중화와 더불어 골프장의 헤드그린키퍼는 전문 직종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삭막한 콘크리트 환경에서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자연을 가꾸며, 자연과 더불어 일 할 수 있는 골프장 헤드그린키퍼야 말로 최고의 직업으로 생각 할 수 있을 것이다.
골퍼들에게 최상의 잔디 상태를 선물하기 위해 골프장 그린의
섬세한 관리가 필요하다.
골프장 코스관리팀의 주요 업무와 구성
● 코스관리팀 구성
코스관리팀은 18홀 골프장의 경우 1~2명의 Head 그린키퍼에 10~20여명의 동료직원으로 구성된다.
보수는 계약직 직원의 경우 1,500~1,800만원, 정규직 직원은 1,800~2,500만원이며 헤드그린키퍼의 경우 5,000~8,000만원 수준으로 대기업에 준하는 대우를 받고 있다.
● 코스관리팀 업무
1) 코스관리
- 잔디보식, 굴삭기 운전, 그린 예지, 그린 및 티 통기작업, 배토, 시비, 시약, 살수
- 티, 페어웨이, 러프 예지, 페어웨이 스위퍼 작업, 배수로 관리, 벙커 정리
- 로터리 모어 작업, 디보트용 모래 보충(각 홀 모래보관통), 잡초 제거 작업
- 켄터키 블루그래스 파종(티 예비용), 예지물 배합 및 선별, 답압지 보호매트 설치
- 그린 피복 개폐, 코스 내 낙엽 청소, 그린 관주 작업, 그린, 티 벙커 지근제거
- 그린 소토사 살포, 그린 아이롱 작업, 그린 버티칼 작업 및 버티 드레인 작업
- 춘고병 예방시약 살포, C 라프 예지작업, 수해 예방 및 보수작업, 진입로, 카트로 제설작업
2) 조경, 수목관리
- 수목 굴취 및 이식 작업, 수목 전지작업, 수목 시비 및 병해충 관리(시비, 시약)
- 초화 식재, 야생화 식재 및 파종, 야생화 식재지 잡초 관리, 전지물 파쇄, 멀칭 작업
- 수목 수간도색, 고사목 제거
3) 스프링클러 관리
- 스프링클러 통제시스템 관리, 계류폭포 및 연못 분수 시스템 관리, 스프링클러 배관 수리
- 그린, 티, 페어웨이 살수관리, Q/C(퀵 커플링) 배관 수리, 배관 통수작업
- 스프링클러 지근 제거작업
4) 홀컵 관리
- 홀컵 이동작업, 티 마크 이동 및 관리, 차단 핀 관리, 그린 부분 살수 작업, 그린 차광막 설치
- 티 디봇용 모래 보충, 예비 홀컵 관리, 코스 내 비품 관리
5) 장비 관리
- 장비 및 차량 관리, 노후부품 교환 및 수리, 갱모아 래핑작업, 회전도 연마작업
- 일일 출력 장비 점검, 그린 모아 래핑작업, 유류 관리, 지정폐기물 관리, 장비공구 비품 관리
- 차량 및 장비 키 관리
6) 인사, 예산 및 공사 관리
- 직원의 채용, 직무 교육, 승진 및 조직관리, 예산의 수립과 집행
- 골프장의 리노베이션, 그린의 개보수
7) 문서 관리
- 저장품(농약, 비료, 골재) 관리, 대내외 공문서 관리
- 각종 문서(일기현황, 교육실시, 구매요청서 등) 작성 및 서류관리
- 일용 노무관리, 비품 및 소모품 관리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는 최고의 자연인,
헤드그린키퍼가 되는 길, 승진, 연봉
“골프장 헤드그린키퍼는 친환경적인 코스관리 지식 및 기술을
개발하고 보유해야 한다.”
● 헤드그린키퍼가 되는 길
1) 농업계열 고등학교 졸업
: 먼저 인근의 골프장에서 계약직으로 시작하여 근무 성과 에 따라 10-15년 후면 헤드그린키퍼가
될 수 있습니다.
2) 전문대학교 졸업 후
: 농대를 졸업하고 계약직 직원으로 근처 골프장에 취업하여 5-10년 후면 헤드그린키퍼가
될 수 있습니다.
3) 대학교 졸업 후
: 한국잔디연구소(02-3446-1741)에서 운영하는 그린키퍼 학교를 1년간 수학 후 골프장에 취업하
여 5-10년 지나면 될 수 있습니다.
4) 건국대 미지원 골프장아카데미 프로 그린키퍼/헤드 그린키퍼 과정 이수
: 골프장에 대한 기본 개념, 잔디 및 수목 관리 개념 등에 대한 이론교육(기초)과 직무교육(고급)을
통하여 코스관리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 후 골프장에 취업을 할 경우 근무 성과에 따라 10-15
년 후면 헤드그린키퍼가 될 수 있습니다.
※ 졸업학교 별로 세분화 한 이유는 골프장 코스관리의 일이 다양하여 회사마다 필요로 하는 인재상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 헤드그린키퍼 승진 체계
1) 계약직 직원 : 골프코스 근무경력 1-2년
2) 정규직 직원 : 골프코스 근무경력 3-9년
3) 헤드 그린키퍼 : 골프코스 근무경력 10-15년
4) 관리이사 : 골프코스 근무경력 15년 이상
5) 대표이사 : 코스관리, 운영, 경영 능력을 보유한 사람
● 헤드그린키퍼의 연봉
1) 계약직 직원 : 2,000-2,200만원
2) 정규직 직원 : 2,400-3,000만원
3) 헤드 그린키퍼 : 5,000-8,000만원
4) 관리이사 : 6,000-8,000만원
5) 대표이사 또는 지배인 : 1억 원 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