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 산업과 미래
(Industry and Future of Golf)
● 골프 시장 규모(20~35조원)
- 회원권 시장: 5~10조 원대의 회원권 시장
- 용품시장: 10~20조원 대에 이르는 용품시장
- 관광 수입: 2~5천억
● 골프장 수
- 1991년: 63개
- 2000년: 160여개
- 2020년: 550~600여개
표 1. 국내외 골프장 현황(2006년, 대한상공회의소)
국명 | 총 인구수(만명) | 골프장 수(개) | 골프장 1곳 당 인구수(만명) |
한국 | 4,800 | 181 | 26.0 |
일본 | 1억 3,000 | 2,460 | 5.3 |
미국 | 2억 9,000 | 15,899 | 1.8 |
● 골프장 인구(추정) : 300~400만명으로 추정
- 2006년: 1,848만 명(내장객 수)
- 2010년: 2,290만 명(내장객 수)
- 2020년: 3000만 명(내장객 수)
표 2. 최근 10년 간 골프장 내장객 변화 추이(한국골프장사업협회, 2000)
연도 | 골프장 수 | 내장객(명) | 비 고 |
| 종 류 | 내장객(만명) |
91 | 61(10) | 4,381,695 | * 골프인구 산정 = 연 이용객의 1/6~1/10수준인 120~200만 명 |
| 골 프 | 1,200 |
| 경 마 | 1,155 | ||||
92 | 73(14) | 5,821,968 | ||||
93 | 86(17) | 6,334,130 |
| 경 륜 | 354 | |
94 | 90(16) | 7,187,135 |
| 프로야구 | 250 | |
95 | 99(16) | 8,242,927 |
|
| ||
96 | 106(20) | 8,979,830 |
|
| ||
97 | 117(26) | 9,877,068 |
|
|
| |
98 | 127(31) | 8,472,910 |
|
|
| |
99 | 142(35) | 10,459,720 |
|
|
| |
2000 | 151(39) | 12,000,000(추정치) |
|
|
| |
* 괄호 안은 퍼블릭 골프장 수 |
|
|
|
● 골프장 매출액
- 수도권 18홀 골프장 : 100억~160억
- 지방 18홀 골프장 : 80억~120억
표 3. 우리나라 골프장의 매출액 현황(2002년)
골프장 | 홀수 | 위치 | 매출액 (억원) | 영업이익 (억원) | 영업 이익률 (%) | ||||
올림픽(퍼블릭) | 9 |
| 경기도 고양시 벽제읍 | 59 |
| 33 |
| 56.4 |
|
익산 | 18 |
| 전북 익산시 덕기동 | 101 |
| 56 |
| 55.5 |
|
팔공 | 18 |
| 대구 동구 도학동 | 62 |
| 32 |
| 52.2 |
|
코리아 | 18, 9 |
| 경기 용인시 이동면 | 156 |
| 71 |
| 45.7 |
|
무안(퍼블릭) | 18 |
| 전남 무안군 청계면 | 75 |
| 32 |
| 43.3 |
|
양주 | 18 |
|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 | 118 |
| 50 |
| 42.9 |
|
동부산 | 27 |
| 경남 양산시 웅상읍 | 140 |
| 58 |
| 41.3 |
|
● 골프 산업의 부가가치(18홀 골프장 유치시, 수도권 골프장)
- 취득세와 등록세 : 50~100억 원
- 지방세(종합토지세와 재산세): 매년 20~30억 원
- 고용 창출: 100~500명의 고용(캐디, 식당 종업원, 경영팀, 경기팀 및 그린키퍼 등)
● 팔 걷어붙인 자치단체들 " 골프장을 우리 지역으로.... "
- 쓰레기 매립장 또는 불모지에 골프장 조성: 에콜리안 제천, 영광, 광산, 정선 등
- 목장 용지에 골프장 조성: 아델스코 골프장 등
- 폐염전 밭에 골프장 조성: 솔트베이 골프장 등
- 매립지에 골프장 조성: 군산 골프장, 스카이72 골프장 등
- 산불이 발생한 곳에 골프장 조성
표 4.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매일경제: 2000년 12월 29일, 단위 : %)
지표 (전국평균) | 특별, 광역시 | 도 | 시 | 군 | 자치구 | |||||
상위 | 하위 | 상위 | 하위 | 상위 | 하위 | 상위 | 하위 | 상위 | 하위 | |
재정자립도 (54.15) | 서울 (88.07) | 광주 (64.09) | 경기 (62.59) | 전남 (22.71) | 과천 (96.09) | 남원 (30.82) | 울주 (71.10) | 철원 (16.14) | 서울중 (92.46) | 인천동 (22.45) |
재정력지수 (74.85) | 서울 (133.61) | 광주 (81.98) | 경기 (132.32) | 전남 (53.49) | 과천 (267.66) | 문경 (17.24) | 광주 (89.06) | 옹진 (7.70) | 강남 (162.45) | 대구남 (2.07) |
◎ 전국 248개 지방자치단체 재정자립도 50% 수준
◎ 99회계 연도를 기준으로 재정자립도와 재정력, 경상수지 비율 등 10개의 지표로 분석
◎ 광역단체: 서울(88.7%) >인천(71.2%) >울산(68.9%) >대전(66.8%) >부산(66.0%) >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