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잔디 시공
(Turfgrass Construction of roof garden)
● 옥상잔디가 무슨 말이죠 ?
옥상, 지붕은 물론 지하주차장 상부와 같은 인공지반을 인위적으로 녹화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 옥상에 잔디를 시공하면 ?
ㆍ이산화탄소, 질산화탄소, 이산화황 등 흡수 ㆍ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정화 ㆍ토양생태계 보전 |
| 환경오염 |
|
|
|
|
|
|
| ||
|
|
|
|
| 도시의 생태적
문제 해결 |
ㆍ새나 곤충의 서식지 및 먹이 제공 ㆍ휴식 거점의 창출 |
| 도시 생태계 보호 |
|
| |
|
| ||||
|
|
|
|
| |
ㆍ기온상승억제, 온도조절, 방풍, 녹음의 형성 ㆍ우수일시저장으로 도시홍수예방 |
| 기후변화 완화 |
| ||
|
| ||||
|
|
|
|
|
|
ㆍ옥상의 단열효과 ㆍ냉난방비의 절감 →이산화탄소 발생 억제 |
| 에너지의 |
|
|
|
|
|
|
|
● 옥상에 잔디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어떤 문제점이 있나요 ?
‧ 바람이 강하다.
- 고층일수록 평균풍속이 강하기 때문에 수목의 높이나 전도 방지를 위한 대책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합니다.
‧ 건조하여 수분이 부족하기 쉽다.
- 성토 두께가 제한되기 때문에 보습력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자동 관수 등의 대책이 필요 합니다.
‧ 건물의 하중이 증가한다.
- 성토한 토양과 수목 및 초화류의 성장에 따라 무게가 증가합니다. 즉, 하중이 증가할수록 건물의
구조체 비용이 증가하는데 최근에는 경량 인공토양 등이 많이 나와 해결이 용이 합니다.
● 하중은 어떻게 되나요 ?
‧ 일반 건물의 하중 : 200kg/㎡이하가 좋습니다.
‧ 10년이 지난 지피식물의 하중 : 1kg/㎡
● 옥상에 토양을 얼마나 깔아야 하나요 ?
구분 | 초지 | 소저목 | 대저목,중목 | 천근성 교목 | 심근성 교목 |
성토 두께 | 30cm | 45cm | 60cm | 90cm | 150cm |
배수층 두께 | 10cm | 15cm | 20cm | 30cm | 30cm |
● 옥상에 잔디를 심을 경우 잔디식재 단면도를 보고 싶어요 ?
● 옥상잔디 시공시 고려사항은 무엇인가요 ?
▶ 옥상에 포설할 흙은 경량토, 모래 어느 것이 좋은 가요 ?
- 경량토는 하중의 부담이 있는 곳에 사용합니다.
- 하중에 부담이 없다면 모래나 흙에 잔디를 식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격은 얼마인가요 ?
- 장비 진입의 용이성에 따라 다릅니다.
- 잔디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 언제 전화드려야 하나요 ?
- 시공 7일전에 연락을 주시면 됩니다.
▶ 건물 주차장 옥상에도 가능한가요 ?
- 잔디가 자랄 수 있는 토양 30cm만 있으면 어디든지 가능합니다.
● 옥상잔디 시공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