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탈면(법면, 사면) 잔디 시공
(Turfgrass Construction of Slope by Road)
● 비탈면의 발생원인
․ 우리나라는 70%이상이 산림이기 때문(도로개설, 택지조성시 대규모 사면 발생)
․ 부지 구입비용이 저렴하여 골프장이 산에 조성되기 때문
․ 각종 채석 및 광물 생산으로 인해 사면 발생
● 골프장에서의 비탈면
골프장에서 사면은 절단된 입체적 형상으로 시각적으로 제일 먼저 인식되는 최대 장애물이다. 따라서 사면은 주변의 산과 시각적, 생태적 연결지대로서 매우 중요한 경관처리 대상이다.
● 비탈면을 방치하면
사면은 태풍, 폭설, 강우 등과 같은 오랜 기후변화에 적응하여 안정된 지표면을 절단하여 형성되었기 때문에 지하수 이동변화와 강우, 강풍 등에 의해 침식 및 붕괴로 불안정성이 높다.
또한 사면의 침식은 골프장 인근 하천의 수질을 혼탁하게 만들어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붕괴는 재시공, 인적피해 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 비탈면 녹화 시기
사면녹화 시 주의할 점은 사면은 경관적 처리 이전에 사면의 구조적 안정과 침식방지에 주안점을 둔 검토가 필요하다. 사면녹화 시기는 사면이 발생 된 후 최소 6개월 이상이 경과되어야 한다. 이는 설계시 사전 조사의 한계 때문에 설계서 상의 사면과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면과의 불일치성 뿐만 아니라 공사 조건의 변화, 심토의 노출에 따른 풍화, 토양구조 변화 및 지하수 변화에 따른 불안정성의 예측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면 녹화 시기는 사면이 내․외부의 변화에 대하여 1차적인 대응반응이 끝나 사면 구조안정 해석 및 향후 조건변화에 대한 대책이 강구될 수 있는 6개월 정도가 지난 후가 좋다.
● 비탈면 녹화시 고려할 사항
사면 녹화 계획은 발주자 의견 및 예산, 사면의 자연조건, 풍화조건, 미기후, 지하수 변화 등 상호연관성 및 향후 녹화복원과의 관계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사면의 구조적 안정성 측면, 침식방지 측면, 경관복원 측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사면녹화 방법에 대해서 경제적, 기능적, 생태적, 경관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선택한다.
● 비탈면녹화 절차
사면처리 방안의 협의 |
| : 발주자 복원계획, 주변의 사회적 요구조건, 허가조건 등의 검토 및 진행일정 |
↓ |
|
|
사면의 자연조건 및 시공 상태 조사 |
| 1) 절토 : 토질, 경사, 향, 주변임상, 표면풍화, 침식상태, 용수, 단층 등 토사지역 : 토양경도, 위주조사 등 암반지역 : 균열, 굴곡여부 위주조사 등 2) 성토: 토질, 향, 다짐상태, 주변과의 관련성 등 |
↓ |
|
|
사면 제반조건의 분석 및 처리방안 수립검토 |
| : 조건관련성, 주복원 목적에 따른 녹화율, 사면처리 방안, 적용공법 등 |
↓ |
|
|
사면처리계획방안의 제안 |
| : 경제적, 경관적 복원방법 등 |
● 비탈면 녹화 방법
● 급비탈면 잔디 식재 방안
․ 평떼 또는 롤잔디를 식재한다.
․ 평떼 식재 후 코아 네트로 피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