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 관리
(Outsourcing of Landscape architecture)
● 조경관리 업무
1. 조경 수목관리의 목표
1) 최적의 조경 수형 유지
2) 최소 병해충 발생
3) 경제적 유지관리
2. 일상업무
1) 수목의 전지 및 전정
2) 수목의 유지를 위한 물주기
3) 병충해 구제 작업
4) 시비 작업
5) 잡초제거
6) 기타 유지관리를 위한 정기적인 업무
3. 특별업부
1) 수목 이식에 따른 특별작업
2) 태풍, 재해 등에 대한 처리업무
● 조경관리 요령
1. 전정 시기
1) 하계전정 : 수목의 정상적인 생육장애요인의 제거 및 외관적인 수형을 다듬기 위해 6월, 8월 사이에 하계전정을 실시하며 도장지, 포복지, 맹아지, 평형지 등을 제거
2) 동계 전정 : 수형을 잡아주기 위한 굵은 가지 전정으로 수목의 휴면 기간인 l2월, 3월 사이에 동계전정을 실시하며 허약지, 병든 가지,교차지,내향지, 하지 등을 잘라냄
2. 제초작업
1) 제초작업은 가급적 잡초가 발아하기 전이나 발생초기에 시행하며 연 4회, 또는 년 6회 실시
3. 수목시비
1) 기비는 늦가을 낙엽 후 l0월 하순, 11월 하순의 땅이 얼기 전까지, 또는 2월 하순, 3월 하순의 잎 피기 전까지 사용하고, 추비는 수목생장기인 4월 하순, 6월 하순까지 사용
2) 화목류의 시비는 잎이 떨어진 후에 효과가 빠른 비료를 줌
4. 병충해 방제
1) 수목을 기본적으로 적정한 비배관리를 하여 건전하게 생육시켜 병충해를 받지 않도록 조치를 하고 예방을 위한 약제 살포
2) 병충해가 발병한 수목은 초기에 약제살포를 하여 조기 구제하고 전염성이 강한 병에 걸렸을 경우에는 가지를 잘라 내거나 심한 경우에는 굴취하여 소각
3) 수간주입은 병충해에 감염되었거나 수세가 쇠약한 수목에 수세를 회복하기 위하여 처리하는 방법임. 주입 시기는 수액이동이 활발한 5월초, 9월말 사이에 증산작용이 활발한 맑게 갠 날에 실시함
5. 관수 및 배수
1) 수간주입은 병충해에 감염되었거나 수세가 쇠약한 수목에 수세를 회복하1) 수관폭의 1/ 3정도 또는 뿌리분 크기보다 약간 넓게 높이 10cm정도의 물받이를 흙으로 만들어 물을 줄 때 물이 다른 곳으로 흐르지 않도록 함
2) 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는 장소에는 표면배수 또는 심토층 배수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충분한 배수작업을 함
6. 지주목 재결속
1) 준공 후 1년이 경과되었을 때 지주목의 재결속을 1회 실시하여 자연재해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 함
2) 지주목을 결속시 주풍향을 고려하여 시공함
7. 월동작업
1) 수목이 겨울철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월동에 필요한 조치를 함
2) 뿌리덮개는 관수한 수분과 토양 중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고 잡초의 번성를 방지하기 위하여 뿌리주위에 풀을 깎아 뿌리부분을 덮어주거나 짚, 나무껍질 등을 덮어줌
3) 방풍은 바람이 계속 부는 시기와 바람이 심한 지역일 경우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방풍조치나 줄기 및 가지를 줄기감기 요령에 의하여 처리함
● 조경 관리 계획표
● 조경관리 요령
년간 관리비 | 관리 수준 | 수종 | 관리내용 | 작업일수 (횟수/월) |
5천 만원 | 중급 | 단순 | 전정, 제초, 시비, 시약, 관수 등 | 상주 1인 |
8천 만원 | 고급 | 다양 | 전정, 제초, 시비, 시약, 관수 등 | 상주 1인 |
* 관리비용은 잔디 운동장 또는 광장의 면적, 거리, 관리 내용에 따라 차이 날 수 있음
● 조경 관리장비 보유현황
장비명 | 용도 | 규격 | 수량(대) | 비고 |
배토기(쿠시맨 외) | 모래 배토 | 1㎥ | 3 | 견인식, 승용식 |
에어레이터 | 통기작업 | 폭 1m | 1 | 자주식 |
트랙터 | 다목적 작업 | 45마력 | 1 |
|
비료살포기 | 비료살포 | 0.6㎥ | 2 | 견인식, 동력식 |
시약차 | 농약살포 | 0.6톤 | 1 | 차량 이동식 |
쏘드카트 | 잔디뜨기 | 폭 40cm | 1 | 자주식 |
종자 파종기 | 덧파종 | 20L | 1 | 수동식 |
로울러, 레벨기 | 평탄작업 | 1.5톤 | 1 | 견인식 |
토양분석 장비 | 과학적 관리 | 경도,투수 등 | 10 |
|
● 조경 관리 용역 의뢰 절차
1단계: 관리를 시작하기 전에 문의 및 협의
2단계: 관리를 맡기고 싶은 분야와 내용을 제시
3단계: 관리기간을 고려(1년 단위)
4단계: 관리용역 계약서를 작성
5단계: 관리용역비를 송금(선수금 30%, 중도금 30%, 잔금 30%을 현금 입금).
6단계: 관리 결과에 대하여 매주 또는 매월 종합 검토의견에 대한 보고서를 보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