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통합검색
월별관리계획표

골프코스 월별 관리 계획표

(Monthly schedule of golf course maintenance)


항목

내 용

1

기본

관리

․ 집중답압 피해예방

 - 혹한기에 2~3주 휴장 실시

 - 100명 답압기준으로 홀컵교체

 - 그린의 인, 아웃지역의 집중답압 분산

 - 경계선 설치

 - 제설작업 시 잔디 관부의 손상(마모) 주의.

․ 건조 예방

- 온도 상승 시 건조해가 우려되므로 관수, 특히 피복그린은 온도상승 시 잔디의 호흡량 증가로 인하여 수분요구량이 많아지므로 오전 중에 적당량의 관수 필요.

․ 배토사 구입

- 입경 1.2~1.0㎜가 80%이상인 모래구입. 특히 하천부지의 작물재배지 모래에는 간혹 선충, 중금속 및 농약 등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구입 전에 철저한 분석.

․ 토양개량제 구입

- 제오라이트는 입경 1.5~2.0㎜, CEC가 110me/100g이상인 제품 선택

- 피트모스는 고운(fine) 등급으로 선택. 토양개량제 사용결정은 토양분석결과를 토대로 해야 예산낭비 및 과잉시비 피해를 줄일 수 있음.

2월

기본

관리

․ 관수

- 온도상승과 바람으로 인한 건조해 예방을 위하여 주기적인 관수. 수분측정기로 토양수분을 측정하여 관수시점 결정. 바람이 많은 그린은 건조해 발생이 더 심하므로 세심한 관찰이 요구됨.

․ 피복그린 관리

- 피복한 그린의 잔디는 연약할 수 있으므로 온도 상승 시 수시로 개폐하여 산소와 직사광선의 공급이 필요함.

․ 롤링작업

- 서릿발 방지와 제설작업으로 인한 그린면의 요철을 제거하기 위하여 2월중· 하순부터 롤링작업 실시.

․ 배토사 조제 및 보관

- 건조된 배토사에 제오라이트, 피트모스 및 소석회분말이나 석회 고토를 혼합하여 물기가 없는 곳에 보관.

시비

․ 녹화 촉진을 위한 유안시비

- 필요한 경우에만 살포

- 2월말~3월초 유안 10~15g/㎡시비 후 충분한 관수. 유안은 단독으로만 시비해야 비해가 방지됨.

시약

․ 피복그린의 병해방제

- 내부온도가 3°C이상 상승 시 개폐하여 옐로우 패치병이나 설부병의 발생여부를 점검. 발병증상이 있을 시 브라운 패치방제 약제를 1회 시약.

․ 그린주변의 켄터키 블루그래스 방제

- 한국잔디에 혼입된 한지형 잔디의 방제를 위하여 경엽 처리제(비선택성 제초제)나 아슐람(1.5g/물ℓ) 살포.

3월

기본

관리

․ 예비 홀컵 제거

․ 관수

- 건조부분이 없도록 철저한 관수

․ 롤링작업

- 볼구름 향상을 위한 주기적인 롤링 작업 실시.

․ 배토작업

- 요철부분의 교정과 볼구름 향상을 위해 얇은 배토 실시.

․ 통기작업

- 산소공급과 뿌리발육 촉진을 위해 3월중·하순경 실시. 통기작업 후 온도의 급강하에 의한 냉해에 주의하고 빠른 회복을 위하여 직경이 작은 타인을 사용 함. 통기작업 후 3~4㎜ 두께로 배토.

시비

․ 신초생육 및 녹화촉진

- 한지형 잔디의 신초생육과 녹색화 촉진을 위해 유안 10~15g/㎡를 1~2회 시비 후 충분한 관수.

- 잔디의 필수성분인 규산의 공급을 위해 규산질 비료 50~100g/㎡를 3월중 시비.

시약

․ 옐로우 패치병 방제

- 브라운 패치병 방제약제 시용.

․ 설부병 방제

-  고랭지 한지형 골프장의 경우 해빙기에 제설작업 및 예방시약 실시.

4월

기본

관리

․ 깎기

- 잔디 하엽 및 묵은 뿌리 제거와 잔디깎기 높이를 낮추기 위해 그린모아에 브러쉬와 릴을 부착한 주기적인 깎기로 잔디밀도와 그린스피드도를 향상시킴.

․ 통기 및 배토작업

- 생육이 왕성한 시기이므로 강한 갱신작업 실시

- 통기작업 후 배토 1~2회 실시.

시비

․  복합비료

- 봄철 시비는 가급적 알비료를 사용

- 1회에 많은 양의 비료공급으로 잔디생육을 왕성하게 하여 잔디밀도 향상과 갱신작업으로 인한 잔디 손상부위의 회복을 촉진.

- 4월중 복합비료는 질소 순성분으로 4~5g/㎡를 1~2회 시비후 큐시로 30여 분간 충분히 관수.

시약

․ 옐로우패치 병반지역 회복촉진

- 옐로우 패치 병반 지역의 녹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황산이온이 함유된 유안이나 철분 비료 시비.

․ 달라스팟 예방시약

- 일일평균기온 18~20°C에서 달라스팟 발생, 예방약제로 호리쿠어, 로르랄 시약.

․ 굼벵이 방제

- 그린주변에 월동한 굼벵이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살충제 시약.

5월

기본

관리

• 잔디깎기

- 잔디깎기 높이는 3.5~4.5㎜로 유지하고 잔디깎기시 수시로 브러쉬 및 대췽릴 부착.

• 통기작업 및 배토

- 생육이 왕성한 시기이므로 강한 갱신작업 실시. 통기작업 후 배토 1~2회 실시.

• 버티칼 모잉

- 장마기 및 한여름을 대비하여 잔디밀도 조절과 대취제거를 위하여 5월중 1회 실시.

시비

 입상황산고토(또는 K-마그) 시비

- 20~25㎏/㎡, 입상철분비료 20g/㎡ 각각 1회 시비 후 충분히 관수.

• 복합비료 시비

- 4~5g/N(질소 순성분량)/㎡를 1회 시비.

• 미량원소 시비

- 황산망간, 황산아연 3~5g/㎡의 1회 시비.

시약

․ 달라스팟 방제

- 일일평균기온 18~20°C에서 달라스팟 발생. 예방약제로 호리쿠어, 로브랄 시약

․ 조류 방제

- 조류발생이 심한 그린은 5월말부터 조류 방제제(구리함유 항생제)로 2~4주 간격으로 예방살포. 이미 심하게 발생한 경우에는 얇은 배토 실시

․ 페어리링 방제

- 봄 건조시 페어리링에 의한 건조해 발생주의. 담자균류 방제약제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살포

6월

기본

관리

․ 세심한 그린 관찰

- 이 시기의 잔디상태가 여름을 좌우하므로 건강한 잔디상태 유지 및 관리 필요

․ 깎기

- 잔디깎기 높이는 4~4.5㎜로 유지하고 잔디깎기 시 수시로 브러쉬 및 대췽릴 부착

․ 통기작업

- 중하순경부터 장마기에 접어들므로 배수불량그린을 대상으로 유공타인을 장착하여 달린 에어레이션 실시

시비

․ 복비시용

- 복합 10g/㎜(무인산으로 액비시비)

․ 칼슘시비

- 내병성강화를 위해 칼슘함유 영양제 2주 간격 3회 엽면시비

․ 요소시비

- 살균제+요소(500~800배액)를 혼합살포

시약

․ 브라운패치 방제

- 장마 전에 15일 간격 2회 살포

․ 피시움블라이트 방제

- 마지막 통기작업 후, 장마전에 예방시약. 약제내성균의 출현이 쉬우므로 동일 약제를 연속하여 2회 이상 사용 금함

․ 탄저병 방제

- 피시움블라이트 방제시 탄저병 동시방제

․ 조류 방제

- 조류방제제(구리함유 항생제)로 2~4주 간격을 예방살포. 이미 심하게 발생한 경우에는 얇은 배토를 실시

․ 해충 방제

- 다색풍뎅이, 거세미나방, 잔디포충나방 방제시약

7월

기본

관리

․ 깎기

- 잔디깎기 높이는 5~6㎜ 정도로 상향조정

․ 배토

- 1~3㎜ 정도의 부분배토 수시 실시

시비

․ 엽색 향상 엽면시비

- EDTA-Fe 1,000배액 2~3주 간격으로 엽면시비

- 질소공급을 위해 EDTA-Fe 1,000+요소 800~1,000배액의 혼합시비도 가능

- 황산고토 800~1,000배액, 월간 1~2회 엽면 시비.

시약

․ 이슬털이

- 이른 아침에 이슬제거 작업 실시.

․ 병 방제

- 고온다습한 시기이므로 브라운패치, 피시움블라이트, 탄저병의 발생이 우려됨.

- 피시움블라이트, 탄저병, 브라운패치, 조류 등 방제, 1~2주 간격으로 방제시약  실시.

․ 거세미나방, 잔디포충나방 방제

8월

기본

관리

․ 깎기

- 잔디깎기 높이는 5~6㎜ 정도로 상향조정

- 예지물량을 확인하여 잔디의 생장정도에 따라 조정.

․ 배토

- 조류발생지역 등에 1~2㎜ 정도의 부분배토 수시 실시.

시비

․ 엽색향상 엽면시비

- 7월과 동일하게 실시

․ 액비시비

- 8월중하순경에 잔디회복을 위해 복비 2.5~3gN/㎡를 액비로 살포 후 충분히 관수

시약

․ 이슬털이

- 이른 아침에 이슬제거 작업 실시

․ 병 방제

- 고온다습한 시기이므로 브라운패치, 피시움블라이트, 탄저병의 발생이 우려됨.

․ 피시움블라이트, 탄저병, 브라운패치, 조류 등 방제

- 1~2주 간격으로 방제시약 실시. 약제연용에 의한 내성균의 출현에 주의.

- 2~3종의 약제를 교대로 살포

․ 해충 방제

- 그린주의에 주둥무늬다색풍뎅이 피해에 주의. 거세미나방, 잔디포충나방 방제

9월

기본

관리

․ 깎기

- 잔디의 생육이 좋아짐에 따라 잔디깎기 높이를 4.0~4.5㎜로 하향 조정

․ 통기작업 및 배토 작업

- 여름내 고결화된 상토층에 유해가스 방출과 산소를 공급하여 뿌리 발육촉진

- 통기작업 후 배토, 특히 잔디를 이식한 곳에는 부분 배토와 롤링작업 실시

시비

․ 과잉시비 금지

- 늦여름이 지속될 경우 여름철 동안 약해진 잔디의 회복이 늦을 수 있으므로 과잉시비 절대 금지

․ 잔디뿌리 분얼촉진

- 황산칼리 4~6g/㎡ 시비

․ 복합비료

- 3~4gN(질소량)/㎡ 정도 1회 시비

․ 엽면시비

- 광합성을 촉진하여 잔디 엽색과 밀도를 높이기 위해 EDTA-Fe, 1,000배액으로 시비

시약

․ 이슬털이

- 이른 아침에 이슬제거 작업 실시

․ 병 방제 시약

- 브라운패치, 달라스팟 방제시약을 2주 간격 1~2회 실시

․ 해충 방제

- 그린 주위에 주둥무늬다색풍뎅이 피해에 주의.

- 거세미나방, 잔디포충나방 방제

10월

기본

관리

․ 깎기

- 잔디하엽 및 묵은 뿌리 제거와 낮은 잔디깎기 높이를 위해 그린모아에 브러쉬와 릴을 부착한 주기적인 깎기로 잔디밀도와 그린스피드 속도를 높임

․ 통기 및 배토 작업

- 잔디생육이 왕성한 시기이므로 강한 갱신작업 실시

- 통기작업 1~2회 정도와 배토 1~2회 실시

시비

․ 균형 시비

- 잔디생육이 왕성한 시기이므로 최고의 잔디품질을 위해 균형시비.

- 복합 비료는 질소순 성분으로 4~5g/㎡를 1~2회 시비.

- 고토, 철, 망간, 아연 등 부족 되기 쉬운 양분공급.

- 늦여름이 지속될 경우 여름철 동안 약해진 잔디의 회복이 늦을 수 있으므로 과잉시비는 절대 금지

시약

․ 옐로우패치 방제

- 기온이 10~20°C인 늦가을에 비가 자주 올 때 발생하므로 10월중순~11월초순경.

- 브라운 패치병 관련고시 농약으로 예방시약

11월

기본

관리

․ 깎기

- 잔디의 생육이 떨어지므로 잔디깎기 높이를 4.5~5㎜정도로 상향조정하여 휴면기 동안의 마모에 대비함

․ 예비홀컵 설치

- 겨울철에 사용할 예비홀컵은 1홀 당 10~15개를 설치하여 집중답안을 분산하여 잔디관부의 손상보호

․ 관수 및 롤링 작업

- 스프링클러가 작동하는 동안 건조부분이 없도록 주기적인 관수

- 잔디휴면 전에 롤링작업 실시

․ 배토

- 겨울철 동해예방을 위하여 잔디 생육기에 1~2㎜ 배토를 1~2회 실시

시비

․ 유안시비

- 유안 10~15g/㎡를 1~2회 시비

시약

․ 저온성병해 방제

- 설부병과 옐로우 패치병 등의 병해의 발생에 유의하되 발생된 곳은 브라운패치병 고시 농약시약

12월

기본

관리

․ 착색제 살포

- 착색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엽색이 녹색일 때 살포하여 조직내에서 고정되어야 장기간 유지가능. 즉 반드시 잔디 휴면전에 살포해야 효과 있음

․ 그린피복

- 피복그린은 2월중 온도 상승시 녹색잔디 제공이 가능하고 건조해 예방효과가 있음.

 - 동계병해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내부온도가 3°C이상일 경우에는 개폐하여 환기 및 관수

․ 배토사 선택

- 배토사 및 혼합자재는 상토와 동일한 입경 및 혼합비율로 살포하는 것이 원칙이나 상토층에 대취축적이 많고 매트화가 잘 된 그린은 유기자재의 혼합 없이 모래와 광물질로만 배토해도 됨.

- 배토사 선택은 입경, 산도, 전기전도도 및 염분 등을 반드시 분석한 다음에 구입해야 됨

․ 홀컵 교체

- 그린 홀컵은 100명 기준으로 잔디상태에 따라 교체


※ 상기 관리 기술은 잔디의 상태, 기후조건 및 작업방법 등에 따라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 반응이 달라 질수 있으므로 소규모의 면적에 예비 적용 후 코스에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Update
status by items

학교/취업/연구소 0/ 522
헤드그린키퍼 0/ 735
프로그린키퍼 0/ 726
골프장CEO∙지배인 0/ 791
캐디마스터∙경기팀장 0/ 710
잔디클리닉 0/ 313
골프레저문화CEO/정보 0/ 446
골프산업학과/문의/자료 0/ 1,375
1,097
1,223,627

문의 / 자료

골프산업학과/문의/자료
건국회 골프 월례회 - 매월 둘째주 화요일 골프산업학과 동문들

2023년 골프산업학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내용 공지 합니다.

회사 창업 - 친환경 미생물 제조 보급 회사

발전 기금 기탁 - 3천만원 - 윤00박사

골프산업학과 졸업생이 발전기금을 기부하였습니다.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23년 개설 교과목 - 골프장 경영학, 골프역학, 토양비료학, 골프피팅, 충해 방재학 등

골프장 경영, 캐디운영, 골프코스 및 잔디 교육기관 - 건국대 미지원 골프장잔디 칼리지(분야)
골프장CEO/(총)지배인/헤드(프로)그린키퍼/경기팀장/캐디마스터
골프장,축구장,야구장,공원,정원,비탈면,옥상 및 조경용 잔디 생산/시공/관리/경영
골프산업학과/골프장매니지먼트 전공/골프코칭 전공/KU골프장잔디연구소
서울시 광진구 능동로 120, 건국대 산업대학원 골프산업학과(산학협동관 404-3호 )

T. 02-453-3786 / 010-6863-6555/ F. 02-2202-3786
jandishin@naver.com / www.kkug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