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통합검색
조경관리기술

조경 수목 관리기술

(Tree Management Techniques of

Landscape architecture)

● 수목전정


    1. 전정의 종류

      1) 약 전정 : 수관내의 통풍이나 일조 상태의 불량에 대비하여 밀생된 부분을 솎아 내거나 도장지 등을 잘라내어 수형을 다듬는다

      2) 강 전정 : 굵은 가지 솎아내기 및 장애지 베어내기 등으로 수형을 다듬는다.


    2. 전정의 시기

        1) 하계전정 : 수목의 정상적인 생육장애요인의 제거 및 외관적인 수형을 다듬기 위해 6월, 8월 사이에 하계전정을 실시하며 도장지, 포복지, 맹아지, 평형지 등을 제거한다.

         2) 동계 전정 : 수형을 잡아주기 위한 굵은 가지 전정으로 수목의 휴면 기 간인 l2월, 3월 사이 에 동계전정을 실시하며 허약지, 병든 가지,교차지,내향지, 하지 등을 잘라낸다.


    3. 전정의 방법

        1) 전정은 수종별, 형상별 등 필요에 따라 감독자와 협의한 후 견본전정을 먼저 실시한다.

        2) 전정을 실시할 때는 전정의 목적, 성장과정, 지엽의 신장량, 밀도, 분리량 등을 조사해서 전정방법을 걸정한다.

        3) 굵은 가지의 전정은 생장할 수 있는 눈을 남기지 않고 기부로부터 가지를 잘라 버리거나 줄기의 길이를 줄이는 방법으로 수종, 수형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제거 한다.

        4) 작은 가지의 전정은 마디의 바로 윗 눈이 나온 부위의 상부로부터 반대편으로 경사지게 절단한다.


    4. 제초작업

        1) 제초작업은 가급적 잡초가 발아하기 전이나 발생초기에 시행하며 연 4회, 또는 년 6회 실시한다.

        2) 인력으로 제초하는 경우는 잡초의 뿌리 및 지하경을 완전히 제거하며, 제거 된 잡초는 반출·처리 한다.

        3) 제초제를 이용한 제초시는 발아전 처리제와 경엽 처리제를 구분하여 목적에 맞게 살포한다. 특히 농도, 살포량, 살포기계의 압력 등을 고려하여 단위면적에 적정량을 살포한다.


    5. 수목시비

        1) 시비시기

          (1) 기비는 늦가을 낙엽 후 l0월 하순, 11월 하순의 땅이 얼기 전까지, 또는 2월 하순, 3월 하순의 잎 피기 전까지 사용하고, 추비는 수목생장기인 4월 하순, 6월 하 순까지 사용해야 한다.

           (2) 화목류의 시비는 잎이 떨어진 후에 효과가 빠른 비료를 준다.

        2) 비료량은 비료의 종류별 추천량을 시비하되 토양의 상태, 수종, 수세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3) 시비 방법

           (1) 환상시비는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뿌리분 둘레를 깊이 30cm, 가로 30cm, 세로 50 cm 정도로 흙을 파내고 소요량의 퇴비(부숙된 유기질비료를 넣은 후 복토한 다.

           (2) 방사형 시비는 1회시에는 수목을 중심으로 2개소에, 2회시에는 1회시비의 중간위치 2개소에 시비 후 복토한다.

          (3) 수목 보호용 덮개가 있을 경우 측공시비법(수목근부 외곽 표면을 파내어 비료를 넣는 방법)으로 시행하되 깊이 10cm 파고 수목별 해당 수량을 일정간격으로 넣고 복토한다.

          (4) 시비 시에 비료가 뿌리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6. 병충해 방제

       1) 예방 및 구제

          (1) 수목을 기본적으로 적정한 비배관리를 하여 건전하게 생육시켜 병충해를 받지 않도록 조치를 하고 예방을 위한 약제 살포한다.

          (2) 병충해가 발병한 수목은 초기에 약제살포를 하여 조기 구제하고 전염 성이 강한 병에 걸렸을 경우에는 가지를 잘라 내거나 심한 경우에는 굴취하여 소각한다. 

       2) 약제살포

          (1) 병충해의 예방 및 구제를 위한 약제살포는 살충제와 살균제를 사용하며, 살포작업 시 사람, 동물, 건조물, 차량 등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2) 사용약제, 살포량, 살포시기, 약제의 희석배율 등은 수목의 병충해 종류와 살포시기에 따라 조절한다.

          (3) 살포작업은 한낮 뜨거운 때를 피하여 아침, 저녁 서늘할 때 시행하며, 사용한 빈 포대와 빈병은 공사부지 밖으로 반줄하여 폐기처분한다.

       3) 수간주입

          (1) 병충해에 감염되었거나 수세가 쇠약한 수목에 수세를 회복하기 위하여 처리하는 방법이다. 주입 시기는 수액이동이 활발한 5월초, 9월말 사이에 증산작용이 활발한 맑게 갠 날에 실시한다.

          (2) 수간주입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수간 주입기를 사람의 키 높이 정도 되는 곳에 끈으로 매단다.

                ② 나무 밑에서부터 높이 5, 10cm되는 부위에 드릴로 지름 5mm, 깊이 3, 4cm되게 구멍을 20∼30각도로 비스듬히 뚫고 주입구멍 안의 톱밥부스러기를 깨끗이 제거한다.

                ③ 같은 방법으로 먼저 뚫은 구멍의 반대쪽에 지상에서 10, 15cm 높이 되는 곳에 주입구멍 l개를 더 뚫는다.

                ④ 나무에 매달린 수간주입기에 미리 준비한 소정량의 약액을 부어 넣는다.

                ⑤ 주입기의 한쪽 호스로 약액이 흘러나오도록 해서 주입구멍 안에 약액을 가득 채워 주입구멍 안의 공기를 완전히 빼낸다.

                ⑥ 호스 끝에 있는 플라스틱 주입구멍에 꼭 끼워 약액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⑦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호스를 반대쪽의 주입구멍에 연결시킨다.

                ⑧ 수간주입기의 마개를 닫고 지름 2, 3mm의 구멍을 뚫어 놓는다.

                ⑨ 약통 속의 약액이 다 없어지면 나무에서 수간주입기를 걷어내고 주입구멍에 도포제를 바른 다음 나무껍질과 일치되도록 코르크 마개로 주입구멍을 막아준다.


    7. 관수 및 배수

        1) 관수

           (1) 수관폭의 1/ 3정도 또는 뿌리분 크기보다 약간 넓게 높이 10cm정도의 물받이를 흙으로 만들어 물을 줄 때 물이 다른 곳으로 흐르지 않도록 한다.

           (2) 관수는 지표면과 엽면관수로 구분하여 실시하되, 토양의 건조시나 한발시에는 이 식목에 계속하여 수분을 유지하여야 하며, 관수는 일출· 일몰시를 원칙으로 한다.

           (3) 수목의 관수 횟수는 연간 5회로서 장기 가뭄시에는 추가 조치한다.

        2) 배수

           (1) 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는 장소에는 표면배수 또는 심토층 배수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충분한 배수작업을 한다.

           (2) 우기에 수 일간 물이 고여 수목생육에 지장을 초래하는 장소는 신속히 배수처리하여 토양의 통기성을 유지해 준다.

   

    8. 지주목 재결속

      1) 준공 후 1년이 경과되었을 때 지주목의 재결속을 1회 실시하여 자연재해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 한다.

      2) 지주목을 결속시 주풍향을 고려하여 시공한다.

      3) 지주목과 수목의 결속부위는 필히 완충재를 삽입하여 수목의 손상을 방지한다.


    9. 월동작업

      1) 수목이 겨울철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월동에 필요한 조치를 한다.

      2) 뿌리덮개는 관수한 수분과 토양 중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고 잡초의 번성를 방지하기 위하여 뿌리주위에 풀을 깎아 뿌리부분을 덮어주거나 짚, 나무껍질 등을 덮어 준다.

      3) 방풍은 바람이 계속 부는 시기와 바람이 심한 지역일 경우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방풍조치나 줄기 및 가지를 줄기감기 요령에 의하여 처리한다.

      4) 방한은 동해의 우려가 있는 수종과 온난한 지역에서 생육 성장한 수목을 한랭지역에 식재한 경우, 즉 지형·지세로 보아 동해가 예상되는 장소에 식재한 수목은 기온이 5℃ 이하로 하강하면 다음과 같은 조치한다.

           ① 한랭기온에 의한 동해방지를 위한 짚 싸주기

           ② 토양 동결로 인한 뿌리 동해방지를 위한 뿌리덮개

           ③ 관목류의 동해방지를 위한 방한덮개

           ④ 한풍 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풍조치 

      5) 동계 피복재(볏집)는 3월 중하순(즉, 땅에서 새순이 나오는 시기)에 제거한다.

Update
status by items

학교/취업/연구소 1/ 524
헤드그린키퍼 0/ 737
프로그린키퍼 0/ 728
골프장CEO∙지배인 0/ 792
캐디마스터∙경기팀장 0/ 712
잔디클리닉 0/ 313
골프레저문화CEO/정보 0/ 446
골프산업학과/문의/자료 0/ 1,375
322
1,229,406

문의 / 자료

골프산업학과/문의/자료
건국회 골프 월례회 - 매월 둘째주 화요일 골프산업학과 동문들

2023년 골프산업학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내용 공지 합니다.

회사 창업 - 친환경 미생물 제조 보급 회사

발전 기금 기탁 - 3천만원 - 윤00박사

골프산업학과 졸업생이 발전기금을 기부하였습니다.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23년 개설 교과목 - 골프장 경영학, 골프역학, 토양비료학, 골프피팅, 충해 방재학 등

골프장 경영, 캐디운영, 골프코스 및 잔디 교육기관 - 건국대 미지원 골프장잔디 칼리지(분야)
골프장CEO/(총)지배인/헤드(프로)그린키퍼/경기팀장/캐디마스터
골프장,축구장,야구장,공원,정원,비탈면,옥상 및 조경용 잔디 생산/시공/관리/경영
골프산업학과/골프장매니지먼트 전공/골프코칭 전공/KU골프장잔디연구소
서울시 광진구 능동로 120, 건국대 산업대학원 골프산업학과(산학협동관 404-3호 )

T. 02-453-3786 / 010-6863-6555/ F. 02-2202-3786
jandishin@naver.com / www.kkugk.com